행복하면 야옹해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오늘11일부터 온라인 신청 시작 본문

◆ 세상 이야기 ◆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오늘11일부터 온라인 신청 시작

양갱아슈슈야 2020. 5. 11. 23:46

 

https://youtu.be/fy-DjvfyefY

<출처: YTN NEWS 유튜브>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모든

국민에게 지급하는 ‘긴급재난지원금’의

온라인 신청이 11일 시작됩니다.

‘마스크 5부제’처럼 출생연도에 따라

신청일이 다르고, 지원금 수령 형태에 따라

신청 방법도 달라서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또한 지자체에 따라 이미 지급한

'코로나19 지원금'과 중복 수령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확인이 필요해요.

먼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이 가능한

‘세대주’인지 확인해야 해요. 정부는

가구원 수에 비례한 금액을 세대주에게만

지급하기 때문이에요. 세대주가 아니면

지원금 신청이 안 돼요.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kr’ 홈페이지를

통해 세대주에게 가구원 수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조회 결과 가구원 수

산정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면 정부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어요. 증빙서류를 갖고

거주지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된다고 해요.

정부가 이를 검토한 뒤 최종 결과를

신청자에게 통보하며, 이의신청 결과가

확정된 후 지원금을 신청하면 된다고 해요.

긴급재난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는 날인지도

살펴봐야 해요. 혼잡을 피하기 위해

‘마스크 5부제’처럼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일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출생연도

끝자리가 1이나 6인 국민은 월요일에만

신청할 수 있고, 2나 7이면 화요일에만

접수할 수 있는 식이다. 다만 토요일인

오는 16일부터는 출생연도와 상관없이

모든 날에 신청할 수 있어요. 지원금은

신청 후 늦어도 사흘 이내로 지급될 계획이라고 해요.

지원금 수령 형태에 따라 신청 방법도

달라진다고 해요. 신용카드, 체크카드에

충전하는 포인트 형태로 재난지원금을

받으려면 각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해야 해요. 총 9개 카드사(우리, 신한,

KB국민, 삼성, 현대, 롯데, 비씨, 하나,

NH농협)가 접수를 하며, 씨티카드는

지원금 신청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요.

재난지원금을 ‘선불카드’ 형태로 받으려면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야 해요. 다른

형태로 지급되는 지원금과는 달리

그 자리에서 선불카드를 즉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각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 화폐인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원금을 받으려면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해야 해요.

다만, 신용카드, 체크카드나 선불카드와

다르게 특정 가맹점에서만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해야 해요.

가맹점이 아니거나 상품권을 발행한

지자체를 벗어난 곳에서는 이를

사용할 수 없어요.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세대주를 위한 현장접수는 오는

18일부터 시작됩니다.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나 읍, 면, 동 주민센터와

지역 금고 은행에서 신청을 받는다고 해요.

단, 신용카드, 체크카드에 충전하는

포인트 형태로 지원금을 받으려면

반드시 은행 창구로 가야 해요. 주민센터와

지역 금고 은행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만 신청할 수 있어요.

 

지자체가 이미 지급한 '코로나19 재난지원금'과

중복 수령은 지자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서울시가

지난달 시민들에게 나눠준 ‘재난긴급생활비’는

정부가 지급하는 지원금과 중복해서 받을 수 있지만,

경기도는 지원금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지자체 재난지원금 분담금'을 제외한 금액만 수령해요.

따라서 4인 가구 기준으로 서울시는

재난지원금 100만 원을 모두 받지만, 경기도민은

20만 원이 적은 80만 원만 수령해요.

지원금 기부를 원하는 이들은 지원금을

신청할 때 기부 의사를 밝히면 된다고 해요.

전액 또는 일부를 기부할 수 있어요. 기부금은

모두 ‘고용보험 기금’으로 활용된다. 만약 3개월

이내로 재난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자동으로 전액 기부 처리된다. 기부금은

연말정산 시 15%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Comments